묵시적으로 갱신된 경우의 주택임대차기간
상태바
묵시적으로 갱신된 경우의 주택임대차기간
  • 남해타임즈
  • 승인 2010.04.01 18:37
  • 호수 19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한민국법률구조공단과 함께하는 법률상식

Q.저는 임차주택을 임차보증금 5천만원에 계약기간 2년으로 정한 임대차계약을 체결하고 거주했습니다. 그런데 집주인은 위 임대차기간이 만료할 당시에는 아무런 의사표시를 하지 않고 있다가, 약정된 임대차기간이 만료한 후 6개월이 경과한 지금에서야, 저에게 위 주택을 자기가 사용해야 한다면서 위 주택의 명도를 요구합니다. 이 경우 저는 위 주택을 집주인에게 명도 해야 하는지요?

 

A.계약의 갱신에 관해 「주택임대차보호법」 제6조 제1항과 제2항은 “①임대인이 임대차기간이 끝나기 6개월 전부터 1개월 전까지의 기간에 임차인에게 갱신거절의 뜻을 통지하지 않거나 계약조건을 변경하지 않으면 계약기간이 끝난 때에 전 임대차와 동일한 조건으로 다시 임대차 한 것으로 본다.

임차인이 임대차기간이 끝나기 1개월 전까지 통지하지 아니한 경우에도 또한 같다. ②제1항의 경우 임대차의 존속기간은 정하지 아니한 것으로 본 다.”라고 규정하고 있고, 같은 법 제4조 제1항은 “기간을 정하지 아니하거나 2년 미만으로 정한 임대차는 그 기간을 2년으로 본다. 다만 임차인은 2년 미만으로 정한 기간이 유효함을 주장할 수 있다.”라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주택임대차보호법」 상 묵시적으로 갱신된 주택임대차의 존속기간은 정함이 없는 것으로 간주하고 있고, 기간의 정함이 없는 주택임대차는 그 기간을 2년으로 보고 있으므로, 묵시적으로 갱신된 주택임대차의 존속기간은 2년으로 보아야 할 것입니다.

판례도 “주택임대차보호법 제6조 제1항에 따라 임대차계약이 묵시적으로 갱신되면 그 임대차기간은 같은 법 제6조 제2항, 제4조 제1항에 따라 2년으로 된다”라고 했습니다(대법원 2002. 9. 24. 선고 2002다41633 판결, 1992. 1. 17. 선고 91다25017 판결). 따라서 귀하는 1년 6개월은 더 거주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참고로 같은 법 제6조의 제1항과 제2항은 “묵시적 갱신의 경우 임차인은 언제든지 임대인에 대해 계약해지의 통고를 할 수 있다. 제1항의 규정에 의한 해지는 임대인이 그 통고를 받은 날부터 3개월이 지나면 그 효력이 발생한다.”라고 규정해 묵시적으로 갱신된 주택임대차에서 임대인이 해지를 원할 경우와 임차인이 해지를 원할 경우를 다르게 규정하고 있습니다.

 

남해군민 여러분! 법률적으로 궁금한 점이 있습니까? 대한법률구조공단 남해지소와 상의하십시오. 무료법률상담, 농어민등 소외계층 무료법률구조를 하고있습니다.

자료제공_대한법률구조공단 남해지소(전화 : 863-6038)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