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농·귀촌인구 급증 대비 필요
상태바
귀농·귀촌인구 급증 대비 필요
  • 이충열 기자
  • 승인 2015.06.02 14:54
  • 호수 45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베이비부머 세대 은퇴시기 도래 등 `향촌이도`로 U턴 인구증가 추세

 귀농귀촌 인구가 해를 거듭할수록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최근 베이비부머 인구의 퇴직과 도시청장년층의 실업으로 귀농귀촌인구가 더 늘어날 것이라는 연구결과가 나와 이목을 집중시키고 있다.

 특히 귀농·귀촌을 원하는 도시민에게 선호지역 상위권으로 꼽히는 남해군의 경우 귀농·귀촌자들이 한꺼번에 몰려올 상황에 대비해 적절한 물적·인적·제도적 준비를 해 나가야 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지난해 12월 30일 발표한 `귀농귀촌 요인과 농촌 사회·경제에 미치는 영향`(연구자 박시현, 최용욱)이라는 과제연구보고서에서 베이비부머 세대의 정년퇴직과 친생태 성향 청장년층의 귀농·귀촌 흐름으로 귀농·귀촌 속도와 수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며 각 지자체가 이를 받아들일 정책적인 준비를 해 나갈 것을 권고했다. 이에 따르면 2000년대 들어 귀농·귀촌 가구가 2001년 880가구에서 2013년 3만2424가구로 37배 급증했으며 전국 통계상 수적으로 증가함과 동시에 수도권과 광역시를 포함한 전국 대부분의 도시 지역에서 `향촌이도(向村移都)` 인구가 증가추세라고 밝히고 있다.

 계속해서 보고서는 귀농·귀촌 요인으로서 구조요인, 도시의 압출요인, 농촌의 흡인요인, 정책요인 네 가지를 제시하면서 귀농·귀촌자 수는 `경제성장률`과 반비례하는 관계이고 최근의 귀농·귀촌인구 증가는 1955년생 베이비부머 세대의 정년퇴직 연령과 밀접하며 청년층의 귀농·귀촌 현상도 작용한 결과로 풀이하고 있다.  

 특히 1963년~1955년 출생자로서 전체 국민의 14.6%(712만5347명)를 차지하면서 전체의 82.8%가 도시에 거주하는 베이비부머 세대가 본격적인 은퇴기에 접어들었다는 점이 집중 부각됐다. 이들은 도시에서 자녀들의 뒷바라지와 내집 마련을 위해 소득의 대부분을 소비하고 은퇴준비가 부족한 세대로 경제적인 이유로 재취업을 원하지만 마땅한 취업기회를 얻지 못하고 있다. 또한 이들의 66.3%가 농촌이주를 희망하지만 가족 반대, 변화에 대한 두려움 등으로 결행하기 쉽지 않은 세대다.   

 또한 귀농·귀촌의 또다른 흐름을 이루고 있는 청년층의 경우 1979년 ~1992년 출생자로 베이비부머가 낳은 자녀 세대(전체인구의 19.9%, 954만명)로서 도시에서 고용기회 감소, 도시 생활비 증가 등 청년실업고를 겪고 있다. 이들은 농촌에서의 사회적 일자리 취업이나 가업승계형 귀농 형태로 농촌으로 점차적으로 유입되는 추세다.

 청년층의 경우 홍성군을 비롯해 전북지역 등 농어촌 지역에서 제공되는 창업 및 취업기회를 계기로 1990년대부터 꾸준히 귀농흐름을 이어오고 있다. 이에 따라 보고서는 귀농·귀촌자들은 도시에서 밀어내는 요인(압출요인)보다는 농촌에서 끌어들이는 요인(흡인요인)에 더 영향을 받는 것으로 분석하면서 각 지자체의 `정책적 준비`가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했다. 

 이와 관련해 농어촌지역 지자체는 농지가격 상승정도와 농업전망 등 `농촌의 수용력` 점검, 고령 귀농자에 대한 복지지원 시책, 청·장년 귀농자를 위한 농산업인턴지원책, 농업연수 등 다각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러한 귀농귀촌 흐름과 관련해 군내 농업인 관계자는 "현재 지자체 내의 고령화 추세와 농업인력 부족, 영세하고 관행적인 농업구조와 제도 등을 검토해 귀촌·귀농자들의 알맞은 수용으로 발전적으로 결합시킬 방안을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올해 남해군의 귀농·귀촌 인구가 1분기에만도 지난해 376명의 45%에 육박하는 등 빠르게 증가하고 있으며 농어업회의소와 함께 귀농귀촌센터를 운영, 귀농·귀촌사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