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비불명(不飛不鳴)
상태바
불비불명(不飛不鳴)
  • 남해타임즈
  • 승인 2020.02.10 14:33
  • 호수 68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不 : 아닐 불 飛 : 날 비 不 : 아닐 불 鳴 : 울 명

새가 날지도 않고 울지도 않는다는 뜻으로, 큰일을 하기 위하여 조용히 적절한 때를 기다린다는 말.
 
 불비불명은 사마천(司馬遷)의 사기(史記) 골계열전(滑稽列傳)에 나오는 말이다. 제(齊)나라 위왕(威王)이 즉위한 지 3년이 지나도록 날마다 주색(酒色)에 빠져, 나랏일을 돌보지 않았다.

 즉위 후 신하들에게 `간언(諫言)하는 자는 처형(處刑)하겠노라`는 엄명(嚴命) 때문에 누구도 함부로 나서서 위왕에게 간언하지 못했다. 

 그러나 순우곤이라는 신하가 위왕에게 `삼년불비우불명(三年不飛又不鳴)!`, `큰 새가 한 마리 있는데 3년 동안이나 날지도 울지도 않으니 무슨 까닭입니까?`라고 묻자, 위왕은 "3년 동안 날지 않았으니 한 번 날면 하늘까지 이를 것이고, 3년 동안 울지 않았으니 한 번 울면 세상 사람들을 깜짝 놀라게 할 것"이라고 답했다.

 위왕은 3년 동안, 앞으로 자신이 펼쳐갈 국정(國政)의 큰 그림을 그리고, 신하들을 평가하며 올바른 신하를 찾고 있었다. 즉, 3년의 세월은 위왕에게 훗날에 큰일을 하기 위하여 조용히 때를 기다리는 `불비불명`의 시간이었다.

 어떤 것이든 합(合)하면 강(强)해지고 나누어지면 약(弱)해진다는 것이 만고(萬古)의 이치(理致)이다. 

 목표를 달성하고 꿈을 실현하기 위해 오랫동안 날지도 않고 울지도 않고, 조용히 때를 기다린다는 불비불명(不飛不鳴)을 마음속에 새기며 우리 모두 여유를 가지며 좌고우면(左顧右眄)하지 않고 중심을 잡고 각자가 실현하고자 하는 꿈을 향해 묵묵히 나아가기 위해서 마음에 꼭 담아두어야 할 적절한 글귀이다. 

 불비불명에 대한 고사는 여씨춘추(呂氏春秋)의 중언편(重言篇)에도 초(楚)나라 장왕(莊王) 때 신하 오거(伍擧)와 대부 소종(蘇從)에 관한 비슷한 이야기가 나온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