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은 율사의 불교 정신
상태바
호은 율사의 불교 정신
  • 남해타임즈
  • 승인 2020.05.21 11:40
  • 호수 69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박 신 조 남해문화원 향토사연구위원
박 신 조
남해문화원 향토사연구위원

 호은문성 율사(이하 율사)께서는 1918년 1월 3일(음) 통도사에서 입적하였는데 빛이 이렛 밤을 비추어 세상을 놀라게 하였다(일설에 의하면 남해용문사. 화방사. 보리암에도 빛이 환하게 비치었다 함) 당대의 석학이자 율사의 입적 후에 불교 교정을 두 번이나 역임하고 당시 남(南)진응〔계(戒)제자, 부(北)한영을 대강백(大講伯)으로 일컬었던 대강백 석전한영(박한영) 스님이 매일신보(1918년 3월17. 19. 21일) 1면에 `호은선백 입적 후 서상에 대하여` 제목으로 3회에 걸쳐 연재했는데 신문이 낡아 글자가 탈색하고 일부가 찢어져 3회분 모두를 번역하지 못하여 그 내용과 뜻을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여 안타깝다.

 석전한영 스님의 문하인(文下人)이자 룗일생록 석전 박한영룘의 저자인 종걸스님(동국사 주지)에게 부탁하여 3회 차(3월21일)를 번역하여 그 일부나마 어림짐작할 뿐이다. 

 아래의 글은 석전한영 스님이 연재한 2회 차 일부 "근본적 불교인 원증(圓證), 원수(圓修), 원해(圓解)를 이룬 분은 유일한 호은선백(虎隱禪伯)이다"고 말하고 있다.
 
매일신보 1918년 3월 19일(화) 1면 

호은 선백 입적 후 서상에 대하여 2
능가실 두타 박한영
 "생략… 근본적 불교를 원증(圓證)치 못함이니 또한 부증(不證)할 뿐이 아니라 원수(圓修)치 못하며 원해(圓解)치 못한 것이라 연(然)한대 비제(比際)에 당하여 능히 근본적 불교를 원해하며 원수하며 원증한 이는 유일하니 용화산하(龍華山下). 소정사(小情舍) 장로 호은선백(虎隱禪伯)이라 하노니 다만 입적후서상(入寂後瑞祥). 이것으로 판명함은 아니요 기(其) 선백(禪伯)의… 생략"

 율사께선 당시로는 어마어마한 수천 금(金)과 전답 수천 두락(斗落)을 바쳐 남해용문사를 복원 중흥하여 대(大) 공덕주(功德主)로, 합천 해인사에서 해동율사(海東律師) (6대조)로 세움 받으면서 칠중수계의계. 사분율. 계경비목. 범망경. 호계첩을 목판에 새겨 100부를 각 선원과 전계사에게 배부하였으며 13대회 까지 수계식을 거행하여 수천명에게 계(戒)를 전했고 말년에는 삼군통제사가 있었던 통제영의 영리청을 매입하여 포교당을 세워서 야학을 개설하여 글을 가르쳤으며 당시 일반인들이 생각하지 못한. 산에 나무를 심었던 신지식인이며 가는 곳곳마다 사찰을 보수하고 탱화를 조성하여 불교정신을 일깨웠다. 

 특히 통영의 포교당을 비롯하여 12필지의 토지가 있었지만 그 재산도 율사의 입적(入寂)후에 조선불교중앙교무원(서울)과 상좌가 나누어 가져갔다. 그렇지만 11세에 부친을 잃고 어렵게 살았던 조카들을 위해 가르침은 주셨겠지만 가족에겐 한 푼의 재산도 허락지 않았다. 율사가 입적 후 1919년 2월 21일 탑을 세울 때 방광하고 율사께서 금강계단을 세우고 수계식을 거행하였던 구례 화엄사 탑전에도 빛이 발하고 큰 울음소리가 맑으니 이적이다 하여 계(戒)제자인 주지 진진응이 화엄사 부도탑 앞에 기적비(호은대율사비)를 세웠다.

 이렇듯 불교를 위해 일생을 다한 율사를 당대의 석학이며 대강백(大講伯)인 석전한영 스님은 율사께 가르침을 받은 흔적은 없으나 불교를 위해 평생을 살았던 호은율사의 위대한 행적과 그의 불교정신과 입적 후 7일 밤을 연이어 비추었던 사실을 매일신보를 통하여 세상에 알리게 된 것이다.

 다음은 석전한영 스님이 게재하였던 매일신보 1918년 3월 21일자(목) 1면을 번역하여 한글로 정리한 것이다.
 
호은 선백 입적 후 서상에 대하여 3                                                         
능가실 두타  박한영
 호은 선사의 법명은 문성이다. 스님은 경남 곤양군 가인동에서 태어났다. 박용옥의 장자로16세에 남해군 용문사의 김금우 스님에게 출가해 20세에는 경북 문경군 사불산 대승사 용호 스님에게 사교를 수업하고 경남 함양군 벽송사 대연 스님에게 대교 및 선전 과정을 마쳤다.
 우리 조선의 대승 율종 정맥은 금담. 대은 율사에서 맥이 이어져 호은 문성스님이 가야산 해인사에다 금강계단을 만들고 범망경 계법에 의지해 7일을 정진하였더니 상스러운 빛을 체득해 대승율종의 종주가 돼 계율을 잇게 됐다.

 전국의 여러 선원에 안거해 인도로부터 전해온 조사스님들의 종지를 연구한 지 10년이며 또한 여러 강원에서 제자를 지도한 일도 5, 6년이나 됐다. 이것은 운봉선사께서 말씀하신 (입민조기 사구여로다: 서장현토 4에 나오는 내용) 것과 같다. 스님의 30, 40대는 험한 산속에서 갈고 닦았으니 시경에 이르기를 타산지석(他山之石)이라도 가이공옥(可以攻玉)이라 했으므로 호은 선사는 험준한 산골짜기에서 건져낸 옥같은 수행력을 가진 완전한 분이시다. 근본 불교를 활연개오(깨달음)해 높은 봉우리에도 멈추지않고 번화한 저잣거리에서도 중도의 원용 경지에 들어 자유를 만끽 누리시었다. 

 경전을 꿰뚫는 경우 귀천과 깨끗함과 더러움의 분별도 없어지는 법이다. 스님은 수염과 머리카락은 흐트러져 늘어질지라도 항상 자비로써 간절히 중생제도를 위해 교화하시되 원하신 마음이 중생을 이익하게 하시니 다시 산을 내려오신 후 30년간 게으름을 피지 않으셔서 법력이 더욱 높으셨고 항상 새로우셨습니다. 연세는 드셨지만 기력도 남달리 정정하시고 몸 또한 재빠르셨던 호은당 문성 큰 스님이시여 씩씩하셨다. 큰스님은 오늘날 우리 조선불교계에 나침반(남극성 별을 의미) 이시다.

 최근에 주석하셨던 용화산 백운정사에서의 말년 삶은 담백하고도 궁핍하시었다. 산속에서 모진 고통 번뇌 겪으며 한 분의 부처님 탄생하시는 것도 모두 우러러보지만 산골짜기에서 이 행색 처음 보는 인간 눈으로는 도롱이를 걸친 시골 어부로 착각하거나 채마밭을 가꾸는 시골 농부로 오인하기 쉽다. 또한 높디 높은 산꼭대기에 풀과 막대기로 암자를 짓고 갈고 닦아 부처가 다 되신 큰스님으로 알아보긴 쉽지 않았다. 그것이 진실로 호은 큰 스님께서 행하신 세속과 어울리되 물들지 않는(화이불유) 최고의 경지셨다.

 아! 슬프고 애달프다!

 세상인심은 높으신 큰스님의 큰 뜻을 모르고 형식과 타성에 젖어 몰라보았다. 그러므로 만약 큰 스님께서 마음을 편안히 여기고 자연의 도리를 따르신 불가의 가풍으로 열반 입적하신 후 이러한 상서로운 방광이 비치지 않았다면 깨달음의 세계(寂光土) 즉 금강삼매에 들지 못한 세계(원효대사의 무량수경종요)는 서로가 마찰되어 말이 안 되는 지경에 이를 것이지만, 노력하신 결과로 인해 열반하신 후 7일 동안 방광해 천지를 환하게 비추게 된 것이다.

 생각건대 비로자나불 부처님의 대광명 빛 또한 마찬가지여서 중생을 향한다. 호은 스님의 방광도 마찬가지다. 이것이 유별하다고 생각하면 불교인이 아니거늘 7일 동안 방광이 꺼지지 않으니 이 또한 무슨 일인가? 

 호은 큰스님은 임종을 맞이할 때 부처님 전에 향 하나를 피워 올리시고 대중 스님들에게 말씀하시기를 《卽色是我耶아 離色 是我耶아 試道看하라. 耶做 是 本來面目코 良久云 卽. 我 離我를 都放下하니- 輪紅日이 出消天이로다. 색이 곧 나니라 색을 떠난 나 말해 보아라 본래면목은(조금 쉬었다가) 나 자신과 나를 떠난 나를 모두 버리니 떠오르는 태양이 하늘에서 사라짐이다. 하시고 눈을 감으셨다.

 만일 부처의 경전 구절을 책갈피에서 발견하였으면 평상시엔 선을 행하고 언어가 끊긴 무상도의 경지는 부처의 경지라 말 못하지만. 호은 큰 스님은 선정과 지혜를 임종시에도 보여 주시었다. 이것이야말로 바로 부처의 말씀이요 부처의 노래이니라. 귀로 통하여 들었으니 악도를 물리침이다.

 신라 원효조사는 의상법사로부터 당나라에 유학 가던 중 노숙하다가 밤에 해골 물 한 바가지를 감로수로 여기고 마셔 갈증을 풀었다. 아침에 일어나 보니 해골 물임을 알고 구역질이 올라왔었다. 홀연히 만법이 유식(惟識)과 삼계(三界)- 유심을 성찰하는지라 신라로 되돌아가 화엄종 시조(初祖)가 됐으니 스님이 주신 이 두 구절도 부처님 옛 말씀이 아니겠는가.
 진정으로 불교를 깨달은 자는 한자 한 구절. 순간적 움직임과 영원한 고요 이 모두 비로자나 부처님에 부합되거늘 하물며 방광과 사리뿐이리오. 이로써 이번 일을 세계에 알리고 불교를 선양할만 하도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