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진만 바지락 폐사 원인은 지속적인 저염분 영향"
상태바
"강진만 바지락 폐사 원인은 지속적인 저염분 영향"
  • 한중봉 기자
  • 승인 2020.10.08 10:39
  • 호수 71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설천 왕지·문항, 서면 유포 바지락 폐사율 83~99% 달해
국립수산과학원, 강진만 해역 양식생물 피해조사 결과 보고
남해·하동·사천 어민들로 구성된 신남강댐 어업피해대책위원회가 지난달 20일 한국수자원공사 남강지사를 항의 방문한 자리에서 정규현(맨 오른쪽) 강진만 패류양식협회장이 남강댐의 과도한 방류로 강진만 패류가 죽어가고 있다며 대책마련을 요구했다.
남해·하동·사천 어민들로 구성된 신남강댐 어업피해대책위원회가 지난달 20일 한국수자원공사 남강지사를 항의 방문한 자리에서 정규현(맨 오른쪽) 강진만 패류양식협회장이 남강댐의 과도한 방류로 강진만 패류가 죽어가고 있다며 대책마련을 요구했다.

 강진만 해역 바지락이 대량 폐사한 것으로 나타난 가운데 국립수산과학원 남동해수산연구소가 사천만, 강진만 해역 양식생물 피해조사 결과 보고를 통해 "수질 환경조사 및 생물피해 조사, 질병분석 결과를 종합해보았을 때 사천만 및 강진만 해역 굴 및 바지락 대량폐사의 직접적인 원인은 지속적인 저염분 영향으로 판단된다"는 조사결과를 내놓았다.

 이러한 국립수산과학원 남동해수산연구소의  조사 결과는 그동안 남강댐의 대규모 방류가 바지락 폐사에 영향을 미쳤다는 어민들의 주장을 뒷받침한 것이어서 눈길을 끈다.

 국립수산과학원 남동해수산연구소는 지난 3일 사천만, 강진만 해역 양식생물 피해조사 결과 요약에 따르면 △사천만과 강진만 해역의 굴, 바지락 양식장 내 수온은 정상 범위를 보였으며 염분의 경우 사천만과 강진만은 6월 말부터 8월 초까지 0.5∼15.0 psu의 범위로 장시간 저염분 상태로 유지되었고 해당 기간 동안 저염분은 세 차례나 감소해 3차 저염분 시기(8월초~중순)에는 평균 4.8±3.9 psu로 유지됐으며 △조사 양식장 굴과 바지락의 육안·해부 및 병리학적 검사 결과 특이 증상은 관찰되지 않은 점 등을 감안해 보면 사천만 및 강진만 해역 굴 및 바지락 대량폐사 직접적인 원인은 지속적인 저염분 영향으로 판단된다는 것이다.

 아울러 국립수산과학원 남동해수산연구소는 8월 25~26일 남해군이 1차 조사 후 수송해 온 시료를 분석한 결과, 강진만 고현 이어어촌계의 바지락이 24%, 설천 문항어촌계의 바지락이 83%, 왕지어촌계의 경우 99%, 서면 유포어촌계의 바지락이 92% 폐사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

 지역 어업인들은 7월부터 내린 장마기간 집중호우와 이에 따른 지속적인 남강댐 방류를 폐사의 원인으로 꼽고 있다. 

 남해군이 국립수산과학원 남동해수산연구소에 제공한 7월 12일부터 8월 24일까지의 강진만 해역 수질환경 측정 결과에 따르면, 문항 및 왕지 해역의 경우 7월 1일부터 8월 24일까지 측정된 수온의 범위는 22.0~25.3 ℃였고, 용존산소 농도도 4.8~11.1 mg/L의 범위로 안정적인 수준이었으나 염분의 경우 6.1~30.8 psu범위로 큰 변동이 있었다. 

 특히 염분의 경우 7월 초(30.8psu)부터 서서히 감소하기 시작해 둘째 주 11.7psu까지 급격히 감소했고, 8월 둘째 주는 이보다 더 감소한 6.1psu까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렇게 낮은 염분농도(6.1~9.2psu)는 8월 초부터 중순까지 유지됐다. 

 유포 해역의 7월 1일부터 8월 24일까지 측정된 수온의 범위는 21.6~25.0 ℃였고, 용존산소 농도도 3.5~12.2 mg/L의 범위로 비교적 안정적인 수준이었으나 염분의 경우 2.3~30.6 psu범위로 문항 및 왕지해역과 마찬가지로 큰 변동이 있었다. 

 아울러 염분의 경우 7월 초 30.8psu부터 지속적으로 감소하기 시작해 8월 둘째 주 2.3psu까지 감소했으며 이와 같이 낮은 염분농도는 8월 초부터 중순까지 2.3~4.9psu의 범위로 유지됐다.

 이러한 조사결과에 대해 수산 관계자들은 "강진만 일원에 대한 전수조사를 통해 피해를 적극적으로 규명해야 하며, 폐사 책임을 밝히는 세밀한 조사한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하고 아울러 "이러한 피해가 되풀이되지 않기 위한 법적, 정책적 방안 마련과 더불어 적절한 피해보상도 강력히 요구해 나가야 할 것"이라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