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해유배문학관, 독도박물관과 공동기획전 개최
상태바
남해유배문학관, 독도박물관과 공동기획전 개최
  • 김종수 기자
  • 승인 2018.04.19 10:23
  • 호수 59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남해에서 만나는 독도` 7월말까지 전시
남해유배문학관과 독도박물관 공동기획전

 남해유배문학관과 독도박물관이 공동 기획한 `남해에서 만나는 독도` 특별전이 지난 17일 유배문학관에서 기념식과 함께 막을 열었다.

 오는 7월 31일(화)까지 100여 일간 개최되는 이번 공동기획전은 국내 유일의 유배문학박물관과 영토박물관으로 각자의 영역에서 전문성을 갖고 지역 대표 박물관으로 자리매김 하고 있는 양 기관이 독도 영유권 및 유대 강화를 위해 뜻을 모아 마련됐다.

 수천 년 간 우리의 영토였던 독도의 역사를 명확히 보여줘 올바른 역사인식을 심어주기 위해 기획된 이번 전시는 `독도`라는 한글을 형상화해 전시공간을 구성한 가운데, 독도를 둘러싼 여러 역사적 사건과 입증사료를 역사의 흐름에 맞춰 전시하며 우리 민족의 독도 영유권을 선명히 부각시키고 있다.

 특히 일본의 주요 사료를 함께 비교 전시해 우리나라의 독도영유권에 대한 당위성과 일본이 주장하는 영유권에 대한 모순을 대비시켜 눈길을 끈다.

 공동기획전에는 한국사료 △해좌전도 △조선국전도 △칙령 제41호 △교지 등과 일본사료 △일본해해전도 △조선국세견전도 △시마네현 고시 등이 전시되고 있다.
 
해상왕국 우산국(于山國)

 울릉도와 독도의 역사적 기원은 우산국에서 찾을 수 있다. 지증왕 13년(512년) 이사부에 의해 신라의 영토로 편입된 우산국은 이후 독자적 소국의 지위를 이어갔고, 고려 건국 이후에도 새로운 군신관계를 형성해 그 지위를 이어갔다. 이후 원나라의 침입으로 고려가 혼란한 틈에 여진족과 왜의 빈번한 약탈로 우산국은 멸망했지만 고려는 이후에도 울릉도와 독도를 삶의 터전으로 관리하고 지켜갔다.

조선이 기록한 울릉도와 독도

감여전도.

 조선은 통치에 필요한 각 고을의 핵심정보를 지리지와 지도에 담아 전국토를 효율적으로 관리했으며, 국가통치의 기본자료인 지리지와 지도에 울릉도와 독도가 명확히 표현되어 있다는 것은 명백한 조선의 영토였음을 증명한다.
 
안용복의 도일(渡日)과 울릉도 쟁계

일본 니가타현에 게시됐던 죽도제찰. 울릉도와 독도는 조선의 영토이므로 일본인의 항해를 금지한다는 내용의 경고판-1837년

조선은 외세로부터 자국민을 보호하기 위해 본토로 송환시키는 쇄환정책을 펼쳤다. 그 결과 울릉도와 독도가 비게 되자 일본인들이 두 섬을 드나들며 수탈했으며 그 과정에서 조선인과 일본인 사이에 충돌이 발생했고, 영유권의 명확한 규정을 위한 외교 분쟁인 울릉도 쟁계로 이어졌다. 안용복은 1693년과 1696년, 두 차례 일본을 찾아가 울릉도와 독도가 조선땅임을 일본 막부가 공식 인정하는데 결정적 역할을 했으며, 지금도 독도영유권에 대한 중요한 국제적 판단의 근거가 되고 있다.

수토정책의 시행

 울릉도와 독도는 어로 및 삼림자원의 보고였기에 울릉도 쟁계의 승리에도 일본어민들의 불법수탈은 계속됐다. 이에 조선은 일본어민의 불법수탈 근절을 위해 주기적으로 수토사를 파견해 일본인을 수색, 토벌해 추방하는 한편, 울릉도와 독도의 실태도 함께 조사하는 수토정책을 실시하며 울릉도와 독도에 대한 영토인식 강화와 체계적 관리기반을 확보하는 계기가 됐다.
 
일본의 독도인식은 조선영토

 대륙침략을 준비하던 일본은 17~20세기에 이르는 동안 인접국의 지리정보를 담은 다양한 지도를 제작했다. 최신정보를 담기 위해 현대적 작도법을 도입했으며, 서양에서 제작한 지도를 차용하거나 기존 지도를 편집하기도 했는데 이처럼 다양한 방법으로 제작된 지도의 공통점은 울릉도와 독도가 조선의 영토로 표기되어 있다는 것이다.
 
울릉도 재개척과 영토 편입

 수토정책에 한계를 느끼고 적극적인 울릉도 재개척을 결정한 대한제국은 1883년 16호 54명의 울릉도 이주를 시작으로 1997년에는 12개 마을에 1134명으로 인구가 늘었다. 그럼에도 일본인들의 수탈이 계속되자 정부는 1900년 10월 25일 [칙령 제41호] 반포를 통해 울릉도와 독도 등 일대의 부속도서 모두를 강원도의 27번째 정식 지방관제로 편입했다. 우리는 그 날을 독도의 날로 기념하고 있다.
 
일본의 독도침탈

일본 시마네현 고시 제40호, 1905년

 일본은 울릉도와 독도 일대의 풍부한 어로 및 삼림자원과 함께 러일전쟁 승리의 교두보 확보를 위해 독도침탈을 계획했다. 시마네현은 1905년 2월 22일 룗시마네현 고시 제40호룘를 작성, 독도를 일본의 영토로 불법 편입했다. 하지만 이 고시는 지방정부에 의한 작성된 관보나 공식매체에 전혀 발표되지 않은 회람형태의 문서이며, 영토편입 사실을 대한제국에 공식 통보하지 않은 실효성 없는 불법문서에 불과했다. 일본의 중앙정부, 육·해군, 각종 언론매체에서는 독도의 편입사실을 모르고 시마네현 고시 이후에도 독도를 조선의 영토 또는 침탈한 영토로 표기하는 오류를 범했으며, 시마네현은 이 고시일을 매년 다케시마의 날로 기념하고 있다.
 
잃어버린 바다 조선해

 한반도의 동쪽 바다를 한국은 동해, 일본은 일본해로 표기하고 있지만 우리의 주권이 상실될 때까지는 세계적으로 `조선해`로 통용됐다. 그러나 명치유신 이후 일본은 조선해를 일본해로 인식시키기 위해 세계지도와 동북아시아 지도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조선해를 일본해로 바꿔 배포하기 시작했고, 그 결과 서구사회에 일본해로 인식되고 말았다. 일본은 바다 이름을 빼앗은 후 독도를 가장 먼저 침탈했고, 이후 한반도를 식민지화 했다.
 
독도의 실효적 지배

 해방과 함께 독도를 되찾은 후 1965년 최종덕 씨가 독도 공공어장채취권을 획득하며 독도는 유인도가 되었다. 1987년 최종덕 씨가 사망한 이후 그의 동료였던 김성도 씨가 1991년 전입과 함께 독도주민이 되었으며, 2007년에는 독도리 이장으로 취임했다.

 우리나라 경찰은 1954년 독도의용수비대의 업무를 인수하고 독도경비대를 창설해 현재까지 독도수호에 힘쓰며 대한민국의 실효적 지배를 이어오고 있다.

Tag
#N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