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해청년에게 가장 필요한 건 일자리 … 청년정책용역 중간보고
상태바
남해청년에게 가장 필요한 건 일자리 … 청년정책용역 중간보고
  • 김수연 기자
  • 승인 2021.11.05 09:58
  • 호수 76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난달 21일 남해군 청년정책 기본계획 수립용역 중간보고회가 청년학교 `다랑`에서 열렸다.
지난달 21일 남해군 청년정책 기본계획 수립용역 중간보고회가 청년학교 `다랑`에서 열렸다.

 남해군이 전국 5위, 경남 2위의 인구소멸 고위험지역임은 주지의 사실이다. 특히 청년인구는 2010년 이후 매년 큰 폭으로 감소해 지난 10년간 1만3348명에서 8449명으로 36.7%나 줄었다. 2020년 말 남해군 전체인구가 4만3천명을 밑돌게 되면서 지역의 미래를 책임질 청년층 인구의 유입과 안정적인 정착은 군의 사활을 건 지상과제가 되었다 해도 과언이 아니다.


 이에 남해군은 지난달 21일 남해읍 청년학교 `다랑`에서 남해군 청년정책 기본계획 수립용역 중간보고회를 열고 용역 중간보고에 이어 청년들이 질의하고 의견을 나누는 자리를 가졌다. 


 보고회는 박춘기 부군수와 이연주 청년혁신과장을 비롯한 군 관계자, 남해군청년정책위원, 청년네트워크 위원 2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고용·사업장 늘었지만 급여·안정성은 부족
 이 보고회에서 주목할 만한 대목은 남해군 청년의 기본욕구조사와 분석 결과다. 이 조사 결과는 남해군 거주 청년들의 기본현황과 전반적인 실태 파악을 통해 청년정책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계획이다.


 조사 결과 남해청년들은 자연·환경 부문은 대체로 만족도가 높지만 교통, 보건의료, 문화, 교육 분야의 만족도는 현저히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청년 부채의 주된 원인으로 주택보증금이, 청년들에게 필요한 경제정책으로는 주거부담 비용을 줄이는 지원정책이 1순위였다. 


 이 가운데 눈여겨볼 지점은 경제활동인구와 고용률 통계(출처: 지역별고용조사, KOSS국가통계포털)에서 남해군은 경남 18개시군 가운데 취업자 수가 2만5300명으로 15위, 실업자 수는 600명으로 12위를 차지했으며, 남해군 전체 사업장 설립 현황은 최근 1년간(2020년 5월~2021년 4월 기준) 174개소에서 450개소로 276개소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고용보험 피보험자 현황(출처: 한국고용정보원)을 보면 남해군은 2020년 5월 5828명에서 2021년 4월 6304명으로 476명(연평균 증감률 0.7%) 증가해 경남도 대비 0.6%, 군부 대비 0.23% 높았으며 특히 10개 군부 가운데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 결과는 긍정적인 것이 분명하지만 청년들은 일자리, 특히 급여수준과 고용안정성이 높은 양질의 일자리는 여전히 부족하다고 느끼고 있었다. 이번 설문조사 결과 청년들에게 심각한 문제 1순위는 청년일자리로 나타났으며, 가장 필요한 정책은 생활비 지원정책, 주택정책, 취업지원·일자리 창출 순으로 응답했다. 또 남해군 청년정책과 관련해 지원받고 싶은 사업은 청년씨앗통장, 청년창업소상공인 희망리턴지원, 청년월세지원사업 순으로, 청년정책 수립시 중점 추진해야 할 분야로 지역정착형 청년일자리(50% 이상), 청년주거안정, 청년여가문화 순으로 응답했다.
 
가업승계 청년지원 확대 등 다양한 요구
 연구용역 중간보고에 이어 박춘기 부군수의 주재로 보고내용에 대한 질의와 자유토론이 진행됐다. 이날 나온 내용을 살펴보면, △청년 문화카드 지원도 좋지만 다양한 온라인 교육이나 자격증 수업 이수 등 취업과 창업에 도움이 될 만한 지원이 이뤄지면 좋겠다 △남해군 가업승계 청년지원이 농업 분야에만 치중돼 있어 어업 등 다른 분야도 지원받을 수 있도록 수정해야 한다 △귀촌하는 청년뿐 아니라 현재 살고 있는 청년들이 역차별을 받지 않도록 필요한 지원을 해야 한다 △청년들의 감소 원인에 대한 기본적인 통계조사뿐 아니라 일하는 청년과 그렇지 않은 청년들에 대한 심층 조사와 분석, 각자의 상황에 따른 맞춤형 정책 수립이 필요하다 △타 시군 지자체와 차별화된 남해만의 매력적인 정책이 필요하다 등의 다양한 의견들이 개진됐다. 


 박춘기 부군수는 "지자체장의 철학과 성향에 따라 바뀌는 정책보다는 지속가능하고 일관된 일자리·주거 정책이 필요하다"고 전제하고 "행정은 청년들이 처한 상황과 처지에 따른 맞춤형 정책을 찾아야 하며, 청년들 역시 스스로 노력해서 자신에게 맞는 지원과 기회를 찾는 의식 전환이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